통합검색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암의 병기

  • 요약병기(SEER)
    • 요약병기란
    • 요약병기범주
    • 일반적인 지침
    • 세부 지침
    • 병기결정법
  • 협력병기(CS)
    • 협력병기란
    • 일반 지침
    • T 범주
    • N 범주
    • M 범주
    • 부위특이요인
  • 그외 병기
    • AJCC Staging System
    • 결장과 직장병기
    • 전립선 병기
    • 부인과 병기
    • 흑색종 병기
    • 림프종 병기
    • 간 병기

일반적인지침

요약병기의 일반지침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home > 암의병기 > 요약병기 > 일반적인지침

요약병기 사용의 일반적 지침

  1. 각 부위에 대해 요약 병기는 임상, 수술/병리학적 평가를 종합하여 코딩한다. 모든 악성조직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면 수술시 육안적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만일 절제된 조직과 관련한 병리보고서와 수술 보고서 사이에 차이가 있다면 병리보고서가 우선한다.
  2. 요약병기는 치료의 첫번째 단계인 수술 혹은 더 이상 질병의 진행이 없는 진단 4개월 중 더 긴 기간을 택하여 가능한 모든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3. 방사선요법, 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면역요법과 같은 치료가 시작된 후에 획득한 요약병기 정보는 지침 2번의 기간을 넘지 않을 때는 포함해야 한다.
  4. 진단이 확정된 후에 질병이 진행됨으로써 일어난 전이는 제외한다.
  5. 유방암에서 피부 침입이나 어떤 부위에서 원격 림프절에 대한 임상적 정보 등은 병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정확한 요약병기를 정하는데 있어 이러한 임상적 정보를 세밀하게 검토하는 것은 중요하다. 만약 수술/병리 정보와 임상정보가 서로 다르다면, 수술/병리 정보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6. 다른 말이 명시되어있지 않으면, 모두 조직검사지 내용을 적용시킨다. 하지만 예외로 모든 Lymphoma와 Kaposi sarcoma는 원발부위에 관계없이 조직학적 내용을 사용하여 병기를 분류해야 한다.
  7. 부검 보고서도 요약병기 코딩에 병리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활용된다. 적용이나 예외규정은 똑같이 해당된다.
  8. 사망진단서에서만 확인한 암환자(DCO)와 불명확한 원발부위(C80.9)인 경우는 요약병기를 ‘code 9’ 로 코딩한다.
  9. 의무기록상에 T(Tumor), N(Node), M(Metastasis)으로만 기술되어 있기도 한다. 그러한 경우 TNM 코드에 대응하는 요약병기 코드를 기록한다. 만약 의무기록내의 내용과 의사의 TNM 코드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 의무기록내용으로 우선 코딩한다. 이러한 경우는 TNM 코드를 기록한 의사와 논의하여야 한다.
  10. 특이부위 지침은 일반지침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특이부위에 관련된 정보를 잘 살펴봐야 한다.